홍보센터

57

에스디엔, 양면 유리 수상 태양광 모듈 신제품 생산 개시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태양광 모듈 생산업체인 SDN(에스디엔, 대표 최기혁)은 7월 신제품 'Sunday 10+ Wave' 수상 태양광 모듈에 대한 KS 및 탄소 인증을 지난 20일 획득해 생산을 개시한다고 21일 밝혔다.신제품은 최대 출력이 600W로 효율 21.46%에 달하며, 수상 태양광 KS인증 제품 중 최고 성능을 가지고 있다. 국내 유일의 양면 유리형 수상 태양광 제품으로 내하중, 고온 고습, 내구성,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며, 특히 후면이 유리로 제작돼 염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한다.SDN 관계자는 "Pb Free(무연납) 적용이 필수적인 고내구성 KS인증 기준이 세계 표준을 선도하고 있어 해외 수상 태양광 수출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 효율의 수상 태양광 모듈이며 부유 구조물의 표준화와 단가 인하, 고효율 인버터와의 매칭, ESS 연계 기능 등 시스템 기술의 획기적인 전환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 최대 400MW 공급을 목표로 국내 대형 EPC사社와의 공급에 대한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SDN은 또 "8월 중 TUV인증을 획득할 예정이며, 남미,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수 나라에 태양광 모듈 및 시스템 공급을 협의 중에 있다"고 전했다. 출처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720001072

에스디엔, 600Wp급 양면 유리 수상태양광 모듈 ‘Sunday 10+ Wave’ 공급

효율 21.46% 수상태양광 KS인증 제품 중 최고 성능▲에스디엔(SDN)이 600W급 양면유리 수상태양광 모듈에 대한 KS 및 탄소인증을 획득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이미지는 Sunday10+Wave(SDM 600) [이투뉴스] 국산 태양광 모듈 생산업체인 SDN(에스디엔, 대표 최기혁)은 600Wp급 양면유리 수상태양광 모듈인 ‘Sunday 10+ Wave’(모델명)가 20일 KS 및 탄소인증을 획득하고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신제품은 최대 출력이 모듈 1장당 600W이며, 효율은 21.46%에 달한다. 이는 수상태양광 KS인증 제품 중 최고 성능이다. 국내 유일의 양면 유리형 수상 태양광 제품으로 내하중, 고온 고습,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특히 모듈 뒷면을 유리로 마감해 염해 부식을 방지한다.무연납(Pb Free) 적용이 필수인 고내구성 KS인증 기준을 충족해 해외 수상 태양광 시장에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SDN 관계자는 "세계 최고 효율의 수상 태양광 모듈로, 부유 구조물의 표준화와 단가 인하, 고효율 인버터와의 매칭, ESS 연계 기능 등 시스템 기술의 획기적인 전환에 기여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SDN은 국내 대형 EPC 기업과 이 제품을 연간 최대 400MW규모로 공급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아울러 오는 TUV인증을 획득하고 남미,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수 나라에 태양광 모듈 및 시스템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SDN은 태양광사업과 선외기 엔진 사업을 영위하는 1세대 국산 태양광 산업체다. 관련기업 최초로 양면유리 수광형 모듈을 양산했다. 출처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6203 

에스디엔(SDN), 장당 600Wp 업계 최고출력 태양광 모듈 선봬

양면유리수광형으로 발전량 20% 제고 상반기 수상용, 하반기엔 차세대 출시 ▲SDN(에스디엔)이 업계 최고 600Wp 출력을 내는 태양광 모듈(모델명 'SUNDAY 10+')을 출시해 화제다. 양면유리수광형(Dual-Glass Bifacial) 제품으로 앞면과 뒷면으로 동시에 태양광을 흡수해 20% 가량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한다. ⓒSDN 제공 [이투뉴스] 국산 태양광 모듈 생산업체인 SDN(에스디엔, 대표 최기혁)이 장당 600Wp의 출력을 내는 업계 최고수준 태양광 모듈(모델명 'SUNDAY 10+') 인증을 완료하고 이달부터 본격적인 제품 판매에 들어갔다. 이 모듈은 양면유리수광형(Dual-Glass Bifacial) 제품으로 앞면과 뒷면으로 동시에 태양광을 흡수해 20% 가량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하며, 양쪽면 모두 유리로 마감해 내구성과 신뢰성이 우수하다.  하프셀 기술과 11버스바를 적용한 10인치 퍼크셀(PERC M10)을 적용, SDN의 기존 'SUNDAY 10(550W)' 모델보다 출력이 50W이상 높다. 그만큼 적은 면적에 더 많은 발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600W급 모듈로는 국내 태양광 제조사에서 생산하는 동종 제품 대비 가장 출력과 효율이 높다.  양면을 유리로 제작해 대규모 프로젝트 뿐 아니라 건물일체형태양광(BIPV)이나 영농형태양광 등으로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제품 보증기간도 30년으로 업계서 가장 길다.  SDN 관계자는 "KS인증 및 탄소검증이 완료된 제품으로, 최초 출하 시점을 기준으로 연간 300MW이상 생산할 계획"이라며 "올해 7월 TUV 인증 완료 후 해외 판매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시장수요 발굴을 위해 수상태양광 모델도 상반기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양면수광형으로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강화해 습기나 염기가 많은 수상환경에서도 높은 발전량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SDN은 이번 600W 모듈 출시로 기존 육상용 외에 BIPV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올해 4분기에는 차세대 N타입 셀인 탑콘(TOPcon)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도 출시해 국내외 고출력·고효율 니즈에 부응한다는 방침이다.  출처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1795

SDN, 업계 최고 출력 600Wp "SUNDAY 10+" 출시

[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SDN(에스디엔, 대표 최기혁)은 출력 및 효율이 업계 최고 수준인 600W 양면유리수광형(GtoG, Glass to Glass) 태양광 모듈의 인증을 모두 완료해 3월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이 제품은 기존 SUNDAY 10(550W) 제품보다 출력이 50W 이상 높아졌으며, 양면 유리 적용을 통해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600W 모듈은 국내 태양광 모듈 제조사에서 생산하는 같은 형태의 모듈 중 가장 높은 출력과 효율을 자랑하며, 양면을 유리로 제작하여 대규모 프로젝트 뿐 아니라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이나, 영농형 태양광 등으로의 활용범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품 보증기간은 30년으로 업계 최장 수준이다. 회사는 KS인증 및 탄소검증이 완료된 해당 제품을 최초 출하를 기점으로 연간 300MW 이상 출하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올해 7월 TUV 인증 완료 후 해외 판매를 준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600W 양면유리수광형의 고내구성 및 친환경성을 강화한 수상형 태양광 모듈에 대한 개발을 완료하여 6월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이는 현재 출시되는 수상형 태양광 모듈 중 가장 높은 출력 및 효율을 가진 제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SDN은 금번 600W 모듈 출시로 시장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또한 차세대 N타입 셀인 탑콘(TOPcon)을 기반으로 한 신제품 모듈을 4분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어 국내 및 해외 태양광 시장의 고출력 고효율의 제품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316000063  

SDN, H3 프로젝트 개시... 태양에너지 생산 및 연구거점 구축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SDN은 광주공장 부지에 태양광 모듈 신규공장 신축 투자를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SDN는 "태양광 모듈 라인 신설과 발전소 데이터센터 등으로 구성된 생산 및 연구 거점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인 'H3 프로젝트'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광주공장 부지에 지상 3층(8,497㎡)으로 구성되며, 2023년 건축물 준공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2개 라인에 주로 탑콘과 탠덤 모듈 라인을 신설하고, 1GW 용량의 RE100 플랫폼을 위한 메인서버와 데이터센터를 입주시킬 계획이다. 2023년 1차 투자 규모는 약 90억 원이며, 기술 진보와 신제품 개발 속도에 따라 각 연산 500MW 용량의 2개의 생산라인을 2025년까지 투입할 예정이다. SDN은 광주 구 공장(H1), 강진 공장(H2)에서 주로 1,2 탄소등급 GtoG 550W~600W 2개 라인을 운영 중이며 주문형 생산체계로 고객사가 원하는 다양한 모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또한 수상형 및 인버터 내장형, 비계통 ESS 매칭형, 방음형(철도, 도로) 등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차 공정의 핵심인 다수의 T/S 장비(Tabber& Stringer)를 확보하고 있다. SDN 관계자는 "H3의 완성으로 태양광 가치사슬에서 부가가치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모듈 제품 및 공정, 적용 기술을 고도화해 파운드리 산업화를 추구하고 있다"면서 "메인 서버 등 대형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기가 단위의 태양광 발전소 운영과 RE100 매칭을 실행할 계획이고, H4를 위한 산단 내 공장 부지는 기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201000686

SDN, 광주공장 여유부지에 RE100형 새 태양광모듈 공장 증설

내년까지 90억원 투입 생산라인 투자도 병행 차세대 제품 생산 및 데이터센터도 유치 예정 [이투뉴스] 태양광 모듈 제조사인 SDN(에스디엔, 대표 최기혁)이 기존 광주첨단공장 여유부지에 약 90억원(시설투자비 제외)을 들여 RE100형 새 태양광모듈 공장을 건립하기로 했다. 1일 SDN에 따르면 'H3 프로젝트'로 명명한 이 사업은 차세대 태양광모듈 제품 생산라인을 추가로 확보하고 태양광발전소와 데이터센터 등이 어우러진 생산 및 연구거점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건물면적 8497㎡, 3층규모 공장건물겸 BIPV형 발전소를 건립할 예정이다. 내년까지 건물을 건립하고 2025년까지 내부에 단계적으로 탑콘과 탠덤모듈 생산라인을 각각 신설키로 했다. 여기에는 1GW용량의 RE100 플랫폼형 메인서버와 데이터센터도 유치할 예정이다. 내년까지 예정된 1차 투자액은 약 90억원이다. 이어 2025년까지 약 500MW규모 2개 모듈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SDN은 기존 광주공장(H1)을 비롯해 강진에 탄소인증제 1,2등급 양면수광형(GtoG) 모듈을 생산하는 550~600MW급 2개 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주문형 생산체계를 갖춰 고객사가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모듈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또 수상형, 인버터 내장형, 비계통 ESS매칭형, 철도·도로 방음형 모듈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해 1차 공정의 핵심인 다수의 T/S 장비(Tabber & Stringer)를 보유하고 있다. SDN 관계자는 “H3의 완성을 통해 태양광 밸류체인에서 부가가치의 50%이상을 차지하는 모듈 제품 및 공정, 적용 기술을 고도화해 파운드리 산업화를 추구할 것"이라며 "메인 서버 등 대형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GW단위 태양광 운영과 RE100 매칭을 실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후속 H4 프로젝트를 위한 산단내 공장 부지는 이미 확보한 상태"라고 부연했다.  출처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http://www.e2news.com)

1 2 3

본사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대왕판교로 1281 TEL031-8016-0599 FAX031-8016-0799

광주첨단공장 & 한국신재생에너지연구소광주광역시 북구 첨단벤처로 16번길 30 TEL062-973-5770 FAX062-973-5771

E-mail 영업 sunday@sdn-i.com 기술지원service@sdn-i.com

Copyright © 2024 SDN Company, Ltd All rights Reserved